Figma 실습 링크: https://www.figma.com/design/p5gz3PylSi1OuUe2zbSQUx/PD_03_%EA%B0%95%EC%86%8C%EC%97%B0?node-id=342-23801&p=f&t=FAeuroY29PkKFZ4q-0

 

 


쿠팡 앱 주문내역 섹션 UI 구조 상세 분석

쿠팡 앱의 주문내역(Order History) 섹션은 사용자가 주문한 상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재주문, 반품/환불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페이지임. 이 섹션을 UX/UI 관점에서 분석하여 구성 요소, 인터랙션, 사용성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정리함.


1. 주문내역 섹션의 주요 목적

✔ 사용자가 최근 주문한 상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
✔ 주문 상태(배송 중, 배송 완료, 반품 가능 등)를 명확하게 제공.
✔ 쉽게 재주문, 리뷰 작성, 반품 신청 등의 추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주문 필터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빠르게 특정 주문을 찾을 수 있도록 함.


2. 주문내역 UI 구조

쿠팡 앱의 주문내역 섹션은 헤더, 필터/검색 바, 주문 리스트(각 주문 카드 포함), 푸터로 구성됨.

(1) 헤더 영역

  • 뒤로 가기 버튼 → 이전 화면(마이페이지 또는 홈)으로 이동.
  • 화면 타이틀: "주문내역" → 현재 페이지가 주문내역임을 명확히 표시.
  • 고객센터 아이콘 → 주문 관련 문의를 바로 할 수 있도록 연결.

(2) 필터 및 검색 바

  • 주문 검색 입력 필드 → 상품명, 주문번호 입력 시 해당 주문만 필터링 가능.
  • 필터 버튼 → 기간별(1개월, 3개월, 6개월, 1년), 주문 상태(배송 중, 완료, 반품 가능) 등의 필터 적용.
  • 정렬 옵션 → 최신 주문순, 배송 상태별 정렬 가능.

✅ UX 최적화 포인트
✔ 검색 기능을 통해 많은 주문 중 원하는 상품을 빠르게 찾을 수 있음.
✔ 필터를 활용하여 주문 기간 및 배송 상태에 따라 리스트를 정리할 수 있음.


(3) 주문 리스트 (개별 주문 카드 UI 분석)

쿠팡의 주문내역에서 각 주문은 카드 형태로 표시되며, 각 주문 카드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됨.

① 주문 기본 정보

주문번호 주문을 식별하는 고유 번호 복사 버튼 제공하여 쉽게 공유 가능
주문 날짜 해당 주문이 진행된 날짜 표시 시간순으로 정렬하여 가독성 유지
주문한 상품 개수 한 번의 주문에서 포함된 상품 개수 "전체 보기" 버튼으로 추가 상품 확인 가능

② 대표 상품 정보

상품 이미지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썸네일 제공 고해상도 이미지 사용
상품명 주문한 상품의 이름 표시 두 줄 이상일 경우 "..."으로 생략 후 전체 보기 제공
판매자 정보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명시 신뢰도 높은 판매처 강조 표시

③ 배송 상태 정보

배송 상태 배지 "배송 준비 중", "배송 중", "배송 완료" 등 현재 상태 표시 색상(파란색, 초록색 등)으로 직관적으로 구분
도착 예정일 예상 도착 날짜 명시 늦어질 경우 "지연 가능" 알림 추가
운송장 정보 운송장 번호 및 택배사 정보 제공 "배송조회" 버튼으로 바로 이동 가능

④ 주요 기능 버튼 (CTA, Call To Action)

배송 조회 실시간 배송 위치 확인 클릭 시 바로 해당 택배사 페이지로 이동
주문 상세보기 전체 주문 정보(결제, 배송지 등) 확인 모달 창 or 상세 페이지로 이동
재주문 동일 상품을 다시 주문 한 번의 터치로 장바구니에 추가
리뷰 작성 상품에 대한 리뷰 및 별점 작성 리뷰 작성 유도 메시지 및 보상 프로그램 제공
반품/교환 신청 반품/교환 프로세스 진행 가이드 제공 및 사유 선택 옵션

✅ UX 최적화 포인트
✔ 주문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배송 진행 상황을 쉽게 확인 가능.
✔ CTA 버튼(배송 조회, 재주문, 리뷰 작성)을 강조하여 사용자의 액션을 유도.
✔ 주문 상세 페이지에서 결제 내역, 배송 주소, 영수증 출력 등의 추가 기능 제공.


(4) 푸터 영역

  • 최근 본 상품 → 주문한 상품과 유사한 추천 상품을 표시.
  • 고객센터 연결 → 주문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문의 옵션 제공.
  • 홈 버튼 → 빠른 이동을 위해 네비게이션 바 포함.

📌 1. 주문 관련 정보

1) 주문 날짜

 주문의 발생 시점(YYYY-MM-DD) 표시
✔ 최근 주문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최신순 정렬
 필터 기능 제공 →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단위로 검색 가능
✔ UI에서 "YYYY.MM.DD" 또는 "YYYY-MM-DD" 형식으로 통일

✅ UX 최적화 요소
✔ 최근 주문을 강조하여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상단 정렬.
✔ 특정 날짜 선택 시 주문 내역 필터링 가능하도록 캘린더 UI 제공.

2) 주문 번호

 각 주문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번호 제공 (예: 20240314-12345678)
✔ 주문 관련 문의 또는 반품/교환 진행 시 필수 정보
 복사 버튼 제공 → 버튼 클릭 시 주문번호가 클립보드에 자동 복사됨

✅ UX 최적화 요소
✔ 주문 번호를 한눈에 보기 쉽게 가독성 있는 폰트 & 여백 적용
✔ "복사" 버튼을 추가하여 고객센터 문의 시 빠르게 복사 가능
✔ 주문번호를 터치하면 자동 복사되는 기능 제공


3) 주문자 정보 (카드 형식 UI)

 주문을 진행한 사용자의 정보 표시 (이름, 연락처, 배송지)
✔ 카드 UI 형태로 시각적 구분 (박스 처리, 아이콘 포함)
✔ 주소 변경 시 "배송지 변경" 버튼 제공

✅ UX 최적화 요소
✔ 주문자 정보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부 마스킹 처리 (예: 홍길동 → 홍**).
✔ "수정" 버튼을 배치하여, 배송지 변경이 필요한 경우 쉽게 수정 가능.


📌 2. 결제 정보 관련 UI 요소 (쿠팡 앱 주문상세페이지 기준)

1) 결제 정보 (카드형 UI - 주문상세페이지 기준)

쿠팡 앱의 주문상세페이지에서는 사용자가 결제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결제 수단 및 결제 정보가 카드 형태(UI Card)로 제공됨.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신용카드, 쿠페이 머니, 간편결제 등) 표시
✔ 결제 수단 아이콘 포함 → 카드사 로고(예: VISA, Mastercard) 또는 간편결제 로고(예: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카드번호 일부 마스킹 처리 (예: KB국민카드 1234-****-5678)
 결제 일시 표시 → (예: 2024.03.14 12:35 결제 완료)
 결제 승인번호 표시 → 결제 인증이 필요한 경우 고객센터 문의를 위한 승인번호 제공


✅ UX 최적화 요소 (주문상세페이지 기준)

 결제 수단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카드형 UI 적용
 결제 수단을 변경하는 옵션은 제공하지 않음 (결제 완료 후 변경 불가)
✔ "영수증 보기" 또는 "세금계산서 요청" 버튼 제공하여 결제 증빙 가능
✔ 결제 상태(승인 완료, 취소 요청, 환불 완료 등)를 시각적으로 강조하여 가독성 강화
✔ 환불이 가능한 경우 "환불 요청" CTA 버튼 추가
✔ 쿠페이머니를 사용한 경우 잔액 및 사용 내역을 별도 표시하여 혼동 방지


2) 상품 가격

 주문한 상품의 원가를 표시
✔ 여러 개의 상품이 있을 경우 총 상품 가격을 함께 표시
✔ 할인 적용 전 가격을 취소선(strikethrough)으로 시각적으로 구분

✅ UX 최적화 요소
✔ 원가 대비 할인 가격을 강조하여 시각적으로 직관적 표시.
✔ 할인 적용 전 가격과 최종 결제 가격을 대비하여 표시하여 가격 혜택을 강조.


3) 할인 금액

✔ 쿠폰, 프로모션 할인, 카드 즉시 할인 등 적용된 할인 내역 표시
✔ 할인 유형별 구분 (예: "카드 할인 5,000원", "쿠폰 할인 3,000원")
✔ 할인 금액을 녹색 또는 강조된 텍스트로 표시하여 시각적 구분

✅ UX 최적화 요소
✔ 할인 적용 전/후 가격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혜택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
✔ "더보기" 버튼을 추가하여 상세 할인 내역을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


4) 배송비

✔ 기본 배송비 표시 (무료 배송일 경우 "무료 배송" 강조)
✔ 로켓배송/로켓프레시/일반배송 등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
✔ 할인 적용 시 "배송비 할인 -3,000원" 등으로 명확히 표시

✅ UX 최적화 요소
✔ 무료 배송 혜택을 강조하여 사용자가 배송비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
✔ "쿠페이 정기 배송 할인" 등의 추가 혜택이 있을 경우 자동 적용 여부 표시.


📌 3. 쿠페이 관련 정보

1) 쿠페이머니 (잔액 표시)

✔ 현재 보유한 쿠페이머니 잔액 표시
✔ "충전하기" 버튼 추가하여 부족할 경우 즉시 충전 가능

✅ UX 최적화 요소
✔ 현재 잔액이 부족하면 "충전하기" 버튼을 강조하여 자연스럽게 충전 유도.
✔ 잔액이 충분한 경우 "사용 가능" 상태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도록 함.


2) 잔액 및 충전 내역 보기

✔ 사용자가 이전 쿠페이머니 사용 내역 및 충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 페이지 제공
✔ "최근 충전 내역", "최근 사용 내역"을 구분하여 표시
✔ 검색 기능 제공하여 특정 날짜의 내역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

✅ UX 최적화 요소
✔ 검색 및 필터 기능을 추가하여 특정 기간의 내역을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지원.
✔ 사용 금액과 적립 내역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카드 UI 적용.


3) 쿠페이머니 (사용 금액)

✔ 이번 결제에서 사용된 쿠페이머니 금액 표시
✔ 할인과 결합하여 "최종 결제금액"이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명확하게 표시

✅ UX 최적화 요소
✔ 사용된 금액과 남은 잔액을 동시에 표시하여 가독성을 높임.
✔ "전체 사용" 버튼을 제공하여 쿠페이머니를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 4. 총 결제금액 및 적립 예정 금액

1) 총 결제금액

✔ 상품 가격 - 할인금액 + 배송비 - 쿠페이머니 사용금액 = 총 결제금액
✔ "최종 결제금액"을 강조하여 직관적으로 표시

✅ UX 최적화 요소
✔ 결제 화면에서 최종 결제금액을 가장 눈에 띄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도록 설계.
✔ 모든 할인과 적립 혜택을 계산한 후의 "실 결제 금액"을 강조하여 명확히 표시.


2) 쿠팡캐시 적립 예정 금액

✔ 결제 후 적립 예정인 쿠팡캐시 금액을 표시
✔ 예상 적립일과 함께 "적립 내역 보기" 버튼 제공

✅ UX 최적화 요소
✔ 적립 예정 금액이 많은 경우, "추가 쿠팡캐시 적립 혜택" 안내하여 결제 유도.
✔ 적립 예정 금액이 실제 지급되는 날짜를 명확하게 표시하여 사용자 신뢰도 강화.

 


 

CTA (Call to Action) 버튼의 개념 및 UX/UI 적용 방법

1. CTA 버튼이란?

CTA(Call to Action) 버튼은 사용자의 특정 행동(액션)을 유도하는 버튼으로, 클릭, 터치, 스와이프 등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UI 요소 중 하나임.
CTA 버튼이 효과적으로 설계되면 전환율(Conversion Rate)이 증가하고, 사용자 경험(UX)이 향상됨.


2. CTA 버튼의 주요 역할

CTA 버튼은 다음과 같은 핵심 역할을 수행함.

사용자의 즉각적인 행동 유도 → 주문, 구매, 회원가입 등 특정 액션을 유발.
페이지 내 정보 구조의 명확한 가이드 제공 → 사용자 흐름을 직관적으로 안내.
UI/UX 최적화 →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색상, 크기, 위치를 설계하여 클릭률 증가.


3. CTA 버튼의 UI/UX 설계 원칙

CTA 버튼은 단순한 클릭 요소가 아니라, 심리적, 디자인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화해야 함.

(1) 가독성이 높은 텍스트 사용

  • CTA 버튼에는 명확하고 직관적인 문구를 사용해야 함.
  • 사용자가 버튼을 봤을 때, 어떤 액션을 수행할지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함.

좋은 예시
✅ "지금 구매하기"
✅ "무료 체험 시작"
✅ "배송 조회"
✅ "장바구니에 추가"

나쁜 예시
❌ "확인" (무엇을 확인하는지 불명확)
❌ "더 알아보기" (구체적인 행동을 유도하지 않음)


(2) 시각적 대비(Contrast) 적용

CTA 버튼은 사용자가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배경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설정해야 함.

  • Primary CTA(주요 버튼): 브랜드 컬러를 사용하고, 명확한 대비를 적용.
  • Secondary CTA(보조 버튼): Primary CTA보다 덜 강조된 색상으로 설정.

좋은 예시 (CTA 색상 대비 적용)

Primary CTA 강한 브랜드 컬러 (#FF8000 - 오렌지) 구매, 장바구니, 신청 버튼
Secondary CTA 중간 강조 (#808080 - 회색) 보조 기능, 취소 버튼
Disabled CTA 약한 대비 (#D3D3D3 - 연한 회색) 비활성화 상태

나쁜 예시

  • 버튼 색상이 배경색과 너무 유사하여 잘 보이지 않음.
  • Primary CTA와 Secondary CTA의 색상이 동일하여 구분이 어려움.

(3) 버튼 크기 및 터치 영역 최적화

CTA 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게 충분한 터치 영역을 제공해야 함.

  • 모바일 환경에서는 최소 48px × 48px 이상의 크기를 확보해야 함.
  • 버튼 간 간격(Spacing)이 충분해야 잘못된 터치를 방지할 수 있음.

좋은 예시
✅ 버튼 크기: 48px 이상 (터치 친화적)
✅ 버튼 간 간격: 8~16px 유지 (실수 방지)

나쁜 예시
❌ 버튼 크기가 작아 손가락으로 정확한 터치가 어려움.
❌ 버튼 간 간격이 너무 좁아 실수로 다른 버튼을 누를 가능성이 높음.


(4)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한 배치

CTA 버튼은 사용자의 흐름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에 배치해야 함.

상품 상세 페이지 "구매하기" 또는 "장바구니 추가" 버튼을 하단 고정
회원가입/로그인 화면 "회원가입" 버튼을 주요 버튼으로 강조
쿠팡 주문내역 "배송 조회", "재주문", "리뷰 작성" 버튼을 주문 카드 내 포함
팝업(모달) 창 "확인"과 "취소" 버튼을 명확하게 구분

CTA 버튼의 일반적인 배치 원칙

  • 구매, 결제 등 주요 CTA 버튼은 화면 하단에 고정하여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
  • 모바일에서는 손가락이 닿기 쉬운 하단 영역에 CTA 버튼 배치(엄지 손가락 존).
  • Primary CTA 버튼을 항상 오른쪽(직관적인 진행 방향)에 배치.

4. CTA 버튼의 인터랙션(Interaction) 설계

CTA 버튼은 단순히 누를 수 있는 요소가 아니라, 사용자의 액션을 유도하는 중요한 상호작용 요소이므로 피드백을 포함해야 함.

(1) 버튼 상태별 스타일 적용

기본(Default) 클릭 전 기본 상태 배경색 유지, 적절한 명암 대비 적용
호버(Hover) 마우스 오버 시 색상 변경 또는 그림자 추가
클릭(Active) 클릭 순간 버튼이 눌린 느낌을 주도록 효과 적용
비활성(Disabled)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클릭 불가 흐린 색상 처리, 클릭 불가 상태

나쁜 예시

  • 모든 상태에서 동일한 색상을 사용하여 시각적 피드백이 없음.
  •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클릭이 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디자인 적용.

(2) 애니메이션 및 트랜지션 적용

  • 버튼을 클릭했을 때, 즉각적인 반응(애니메이션)이 제공되어야 함.
  • 트랜지션 효과를 적용하여 부드러운 시각적 피드백 제공.
 

5. 쿠팡 주문내역에서 CTA 버튼 최적화

쿠팡 주문내역 화면에서 CTA 버튼의 역할을 UX 관점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음.

배송 조회 실시간 배송 상태 확인 클릭 시 바로 택배사 페이지로 연결
재주문 동일한 상품을 다시 주문 원클릭으로 장바구니 추가
리뷰 작성 구매한 상품에 대한 리뷰 작성 시각적 강조 및 보상 프로그램 연계
반품/교환 신청 상품 반품 및 교환 신청 단계별 가이드 제공

CTA 버튼이 사용자 액션을 쉽게 유도하도록 크기, 색상, 배치를 최적화해야 함.

 


 

 

"판매처에 문의하기" 버튼의 낮은 대비(Weak Contrast) 디자인 의도 분석

쿠팡 앱에서 "판매처에 문의하기" 버튼이 다른 CTA 버튼(예: 배송 조회, 반품 신청 등)보다 약한 대비로 표현된 이유를 UX/UI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음.


1. CTA 버튼의 계층 구조(Hierarchy)와 중요도 조절

모든 CTA 버튼이 동일한 강조 수준을 가지면 사용자는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 혼란을 느낄 가능성이 있음.
따라서, 주문 상세 페이지에서 가장 중요한 액션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기능은 약한 대비로 표현함.

✔ CTA 버튼의 계층 구조 (쿠팡 주문 상세 페이지 기준)

"배송 조회" 실시간 배송 상태 확인 🔴 강한 대비 (Primary) 배송 중인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됨
"반품/교환 신청" 교환 및 반품 진행 🔴 강한 대비 (Primary) 사용자가 가장 신속하게 접근해야 할 기능
"장바구니 담기" 동일 상품 재구매 🟡 중간 대비 (Secondary) 반복 구매 유도, 하지만 필수 기능은 아님
"판매처에 문의하기" 판매자와 직접 Q&A 약한 대비 (Tertiary) 일부 사용자만 사용,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기능

✅ 디자인 의도:

  • 사용자 행동을 분석한 결과, 배송 조회/반품 신청 버튼이 가장 많이 클릭되므로, 이 두 가지 버튼을 강한 대비로 제공.
  • 반면, 판매처에 직접 문의하는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적고, 모든 사용자에게 필수적인 기능이 아니므로 강조도를 낮춤.
  • "판매처 문의" 버튼이 필요한 사용자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시각적 노이즈를 줄이는 전략 적용.

2. 고객센터(쿠팡) vs. 판매자(제3자) 문의 우선순위

쿠팡 앱에서는 "판매처 문의"보다 쿠팡 고객센터로 문의하는 방식이 더 일반적이며, 문제 해결 속도가 빠름.
따라서, 쿠팡 고객센터의 문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판매처 문의 기능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됨.

✔ 일반적인 문제 해결 흐름:
1️⃣ 배송/교환/환불 관련 문의 → 쿠팡 고객센터가 해결 (Primary CTA)
2️⃣ 제품의 상세 정보나 특수한 사유가 있는 경우 → 판매처 문의 가능 (Tertiary CTA)

✅ 디자인 의도:

  • "판매처 문의하기" 버튼의 강조도를 낮추어 일반적인 고객 문의는 쿠팡 고객센터를 이용하도록 유도.
  • 쿠팡 고객센터에서 해결할 수 없는 특수한 경우에만 판매처와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함.

3. 사용자 피로도 감소 (Cognitive Load Reduction) 전략

사용자가 모든 버튼이 동일한 강조 수준이면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할지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어려움.
특히, 강조된 CTA 버튼이 많으면 사용자는 선택을 망설이게 되고, UX 피로도가 증가할 수 있음.

✔ CTA 버튼 대비를 조정하면?

  • 시각적 피로도를 줄이고, 사용자의 흐름을 더 직관적으로 유도 가능.
  • 가장 중요한 액션(배송 조회, 반품 신청)만 강조하면 사용자가 빠르게 핵심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 반면, 중요도가 낮은 기능(판매처 문의하기)은 대비를 줄여 필요할 때만 사용하도록 유도.

✅ 디자인 의도:

  •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고 최우선 액션을 빠르게 선택하도록 유도.
  • 강한 대비를 적용하지 않아도 필요한 사용자는 버튼을 찾을 수 있음.

4. 판매처 응답 속도 및 고객 경험 관리

일반적으로 판매처의 응답 속도는 쿠팡 고객센터보다 느릴 가능성이 높음.
즉, 판매처와 직접 연락하는 방식이 즉각적인 문제 해결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경험(UX)을 저하시킬 수 있음.

✔ 강한 대비를 적용하면 생길 문제점

  • 모든 사용자가 판매처 문의를 우선적으로 시도하면, 판매자가 빠르게 응답하지 못할 경우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이 증가.
  • 반면, 쿠팡 고객센터는 더 빠른 응답을 제공할 수 있어 고객 만족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큼.

✅ 디자인 의도:

  • 필요한 사용자만 판매처에 문의하도록 유도하여, 불필요한 문의 증가를 방지.
  • 쿠팡 고객센터를 우선적으로 이용하도록 디자인하여 문제 해결 속도를 높임.

5. 쿠팡의 전반적인 UI/UX 디자인 전략

쿠팡은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UI를 최적화하는 A/B 테스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함.
이러한 테스트 결과에 따라, 강조할 버튼과 그렇지 않은 버튼을 구분하여 시각적 계층 구조를 설계함.

✔ CTA 버튼 디자인 전략 요약

배송 조회 🔴 강한 대비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므로 강조
반품/교환 신청 🔴 강한 대비 고객 불만 해결을 빠르게 유도
장바구니 담기 🟡 중간 대비 재구매 유도, 하지만 필수 기능은 아님
판매처 문의하기 ⚪ 약한 대비 일반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 아니므로 강조하지 않음

결론: "판매처에 문의하기" 버튼이 약한 대비로 표현된 이유

1️⃣ CTA 버튼의 계층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 가장 중요한 기능(배송 조회, 반품 신청)을 최우선으로 강조하고, 덜 중요한 기능(판매처 문의)은 약한 대비로 제공.

2️⃣ 쿠팡 고객센터를 우선적인 문제 해결 창구로 설정하기 위해
→ 대부분의 주문 관련 문제는 쿠팡 고객센터가 해결할 수 있으므로, 판매처 문의를 기본 옵션으로 제공하지 않음.

3️⃣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UX를 최적화하기 위해
→ 모든 버튼이 강한 대비를 가지면 사용자가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할지 혼란을 느낄 수 있음.

4️⃣ 판매처의 응답 속도가 느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
→ 즉각적인 해결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만 접근하도록 설계.

5️⃣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A/B 테스트 결과 반영
→ 주요 액션(반품 신청, 배송 조회)과 보조 액션(판매처 문의)의 시각적 구분을 통해 최적의 UI를 유지.

 

+ Recent posts